사도행전 23:1-35
각주
연구 노트
살아왔습니다: 또는 “행동해 왔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단어는 그리스어 폴리튜오마이의 한 형태로서, “시민으로서 행동하다”로 번역할 수도 있다. (「왕국 행간역」[Kingdom Interlinear]) 바울의 말은 자신이 나라의 법을 준수하는 훌륭한 시민으로서 합당하게 행동해 왔음을 지적하는 것이었다. 로마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나라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로마 시민권이 매우 가치 있게 여겨졌으며 그 시민권을 가진 사람에게는 특권과 함께 책임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행 22:25-30) 여기서 바울은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말하면서 하느님 앞에서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의 말에는 자신이 로마 제국의 시민이기에 앞서 하느님의 왕국의 시민이라는 점이 내포되어 있었을 수 있다.—빌 3:20. 동일한 동사가 사용된 빌 1:27; 각주와 비교.
나는 바리새인이며: 바울의 말을 듣는 사람들 중에는 바울을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행 22:5) 바울이 자신을 바리새인의 아들이라고 불렀을 때, 산헤드린에 있던 바리새인들은 그가 자신들과 공통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임을 이해했을 것이다. 그들은 바울이 자신의 신분을 숨기려고 그렇게 말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가 열심 있는 그리스도인이 된 것을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문맥에서 바울은 상대적인 의미로 자신이 바리새인이라고 말했을 수도 있다. 바울은 자신이 바리새인들과 마찬가지로 부활을 믿기 때문에 사두개인보다는 바리새인에 가깝다고 밝힌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 그는 그 자리에 있던 바리새인들과 자신 사이의 공통점을 이끌어 냈다. 그는 논쟁이 될 만한 이 문제를 부각시킴으로 산헤드린의 일부 성원들이 자신의 주장에 동감하게 만들려고 했던 것 같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행 23:7-9) 이 구절(행 23:6)에 나오는 바울의 말은 후에 그가 아그리파왕 앞에서 자신을 변호하면서 자신에 대해 한 말과도 일치한다. (행 26:5) 나중에 로마에서 빌립보의 동료 그리스도인들에게 편지할 때도 그는 자신이 이전에 바리새인이었다고 언급했다. (빌 3:5) 유의해 볼 만한 점으로, 행 15:5에서는 이미 그리스도인이 된 일부 신자들에 대해 말하면서 그들의 바리새파 배경을 여전히 함께 언급한다.—행 15:5 연구 노트 참조.
먹고 마시면 저주를 받겠다고 맹세했다: 또는 “먹지도 마시지도 않겠다고 맹세했다”. 여기서 “맹세하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아나테마티조는 맹세를 이행하지 않거나 맹세가 거짓임이 드러날 경우 저주를 받겠다고 맹세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장로들: 이 구절에서는 유대 민족의 지도자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흔히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함께 언급된다.—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무엇이든 먹으면 저주를 받겠다고 굳게 맹세했습니다: 또는 “아무것도 먹지 않겠다고 굳게 맹세했습니다”.—행 23:12 연구 노트 참조.
먹고 마시면 저주를 받겠다고 맹세했습니다: 또는 “먹지도 마시지도 않겠다고 맹세했습니다”.—행 23:12 연구 노트 참조.
밤 제3시: 해가 질 때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으로, 오후 9시경에 해당한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는 시간을 언급할 때 주로 그리스•로마식 체계에 따라 “경”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마 14:25; 막 6:48; 눅 12:38) 밤 시간을 12시간으로 구분한 체계에 따라 몇 “시”인지 구체적으로 언급한 곳은 이 구절뿐이다.—행 16:25, 33 비교. 막 13:35 연구 노트 참조.
클라우디우스 리시아스가 총독 펠릭스 각하께 인사드립니다: 고대에는 편지를 쓸 때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식으로 시작했다. 먼저 편지를 쓰는 사람을 언급하고 그다음에는 편지를 받는 사람을 언급했으며 이어서 일반적인 인사말을 썼다. 인사말에는 문자적으로 “기뻐하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카이로가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잘 지내시기 바랍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성경 이외의 파피루스 서한들에 자주 나온다. 이 문맥에서는 이 그리스어 단어를 “인사드립니다”로 번역할 수 있다. 비슷한 형식으로 편지를 시작한 예를 행 15:23과 약 1:1에서도 볼 수 있다.—행 15:23 연구 노트 참조.
로마인: 로마 시민이라는 의미이다.—행 16:37; 22:25 연구 노트 참조.
궁전: 또는 “총독 관저”.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그리스어 프라이토리온(라틴어 프라이토리움에서 유래)은 궁전이나 관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원래 프라이토리움은 사령관의 막사를 가리키는 표현이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속주 총독의 관저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여기서는 헤롯 대왕이 카이사레아에 세운 궁전을 가리킨다. 이 구절에 나오는 사건이 일어난 때인 기원 56년경에 그 궁전은 로마 총독의 관저로 사용되고 있었다.—마 27:27 연구 노트 참조.
미디어
대개 로마 군인은 찌르거나 던지는 데 알맞은 기다란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투창(1)은 목표물을 꿰뚫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투창은 무거워서 멀리 던질 수는 없었지만 갑옷이나 방패를 뚫을 수 있었다. 로마 군단의 병사들이 흔히 투창을 가지고 다녔다는 증거가 있다. 이보다 단순하게 생긴 창(2)은 긴 나무 자루 끝에 주조된 쇠촉이 달려 있는 형태였다. 보조 보병대 군인은 이러한 형태의 창을 하나 이상 가지고 다니기도 했다. 예수의 옆구리를 찌르는 데 어떤 창이 사용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